DADAM Retail – Parking Garage

Reframing the act of wearing — through the language of now. A design that translates the emotion and structure of tradition into a folded sequence of material, rhythm, and cultural memory.

About the project +

Project Summary

A parking space that embodies the essence of the brand, connecting user flow and experience.

주차공간에서 브랜드의 색채와 정체성을 어떻게 구조와 그래픽에 반영해, 이용자의 동선을 안전하고 직관적으로 안내하며 동시에 브랜드와 고객의 연결을 강화할 수 있을까?

시작의 맥락 – 직(織)과 감(感), 다시 짓는 문화의 결(結)

전통 직물의 유산, 현대의 감각으로 다시 태어나다.

BUN은 1997년부터 2대에 걸쳐 부산 진시장에서 전통 직물(織物) 산업에 종사해 온 선영주단의 역사와 기술적 유산에서 출발한다. 부산 진시장은 오랜 기간 한국 섬유 유통의 중심지로 기능해 왔으며, 특히 한복 원단과 관련된 실용적 지식과 지역적 네트워크가 밀집되어 있는 장소이다.

BUN은 이와 같은 전통적 직물 기반을 바탕으로, 오늘날의 감각적 언어와 시각 문화 속에서 전통 의복의 맥락을 재해석하고자 한다.

프로젝트의 핵심은 전통 한복의 정서적 층위(層位)와 물리적 구조를 감각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며, 특히 종이라는 매체를 선택함으로써, 한복이 지닌 시간성 · 질감 · 구조적 미감을 시각적으로 번역하고, 이를 통해 젊은 세대와의 감각적 접점을 설계하려 하였다. 이는 한복의 전통성과 부산이라는 지역적 기원을 결합하여, 전통 의복의 문화적 의미를 현재 사회의 일상성(日常性)과 연결짓는 일종의 ‘입는 문화’로서 제안하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결과적으로 BUN은 과거의 유산을 단순히 복원하거나 계승하는 것이 아니라, 그 유산을 새로운 시대의 감각적 체계 안에서 재배치함으로써, 전통이 지금 – 여기의 삶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문화 디자인 프로젝트로 정의된다.

Traffic lines

Traffic lines

Core

Signage

Column Signage

New Posts

  • B U N

    BUN Reframing the act of wearing — through the language of now. A design that translates the emotion and structure of tradition into a folded sequence of material, rhythm, and…

  • Ask to Begin

    Perspektive: Design asks not what it should look like, but why it should exist. At DankeLab, we view design not merely as visual execution, but as a structure of thought.…

  • Structure of Thought – Test 5

    디자인은 브랜드에 대한 첫 인식을 형성하고, 제품과 서비스는 그 신뢰를 지속시킵니다. 단케랩은 전략과 창의, 그리고 다학제적 관점을 연결하는 고유한 프로세스를 통해, 브랜드가 시장에서 ‘발견되고 유지되는 방식’을 설계합니다.